배포 알못인 나는 AWS와 k8s는 막연하게 배포할 때 사용하는 기술들이라고만 알고 있었다. 최근 CI/CD에 대해 공부하면서 이들에 대해서도 알아야 할 필요성이 생겼고, 그 둘의 특징과 차이점을 정리해보았다.
| 구분 | AWS | K8s (Kubernetes) |
| 분류 | 클라우드 인프라 서비스 (IaaS) |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플랫폼 (PaaS) |
| 제공 역할 | 서버, 네트워크, 스토리지 등 물리적 인프라 자원 제공. |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의 배포, 확장, 관리, 자동화를 담당 |
| 위치 |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될 바탕 | 그 바탕 위에서 컨테이너를 관리하는 운영 체제/관리 시스템 |
| 관계 | K8s는 AWS 위에서 실행될 수 있다 (EKS 서비스 등) | AWS는 K8s에 실행 환경과 자원을 제공하는 하위 인프라 |
이 둘의 관계를 비유하자면 다음과 같다.
- AWS는 인간이 소프트웨어 공장을 지을 수 있는 거대한 부지(토지)와 기본적인 전력/상수도 시설을 제공
- K8s는 그 부지 위에 설치된 컨테이너 박스를 자동 배치/관리하고 제품 생산 라인을 제어하는 첨단 자동화 시스템이다
따라서, 둘은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으며, 기능적 범위 자체가 다르기 때문에 동일 선상에서 비교하는 것은 적절하지 못하다.
AWS, k8s에 따른 무중단 배포 전략별 구현 방법을 알아보려고 했으나 이번 기회를 통해 그 둘을 동일 선상에서 비교 가능한 것으로 잘못 알고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응형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 [TIL] 무중단배포에 대해 (0) | 2025.10.28 |
|---|---|
| [TIL] jakarta vs springframework Transactional (0) | 2025.10.02 |
| [TIL] Layered Architecture (0) | 2025.10.01 |
| [TIL] Java에서의 병렬 처리 (1) | 2025.09.26 |
| [TIL] 스케줄링 (@Scheduled & Quartz) (0) | 2025.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