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ansactional을 사용할 때, 일반적으로 두 가지 정도를 임포트 할 수 있다.
바로 jakarta.transaction.Transactional와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이다.
두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은 모두 트랜잭션 처리를 위해 사용되지만, 그 표준과 제공하는 기능에 큰 차이가 있다. 본 포스팅에서는 두 어노테이션의 차이와 역할을 알아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트랜잭션은 데이터베이스에서 여러 작업을 하나의 묶음으로 처리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묶음 안의 작업들은 모두 성공하거나(Commit), 아니면 모두 실패하고 되돌려져야(Rollback) 한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jakarta.transaction.Transactional
특징
위 어노테이션은 자바 기반의 모든 엔터프라이즈 환경에서 "트랜잭션을 처리한다"는 최소한의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 만들어졌다. Jakarta EE(과거 Java EE) 스펙의 일부로 정의된 표준 트랜잭션 어노테이션이다.
이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면 코드가 특정 프레임워크(Spring)에 종속되지 않고, JTA 표준을 지원하는 다른 Jakarta EE 환경에서도 트랜잭션 기능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단점
그러나 jakarta @Transactional은 격리 수준(Isolation) 등 Spring에서 제공하는 고급 옵션을 지원하지 못하거나 제한적으로 지원한다는 아쉬운 점이 있다. 여기서 격리 수준은 "데이터 일관성을 얼마나 강력하게 유지할지"에 대한 내용이다. 또한, 트랜잭션이 이미 진행 중일 때 어떻게 할지(전파 옵션) 등의 세밀한 제어 옵션도 제공하지 않고 있다.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을 권장하는 이유
보통 Spring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에서는 위의 Transactional을 쓰는 것을 권장한다. 그 이유는 아래와 같다.
특징
이 어노테이션은 Spring 프레임워크가 제공하는 핵심 기능이다. Spring의 AOP(관점 지향 프로그래밍) 기술을 이용해 트랜잭션을 관리다. JPA, JDBC, JTA 등 다양한 DB 관련 기술과 연동이 잘 된다는 특징이 있다.
현재 대부분의 Java 백엔드 프로젝트들은 Spring Boot 기반으로 만들어진 것들이 많기 때문에, 사실상 이 어노테이션이 표준으로 통용된다.
장점
트랜잭션의 동작 방식을 세밀하게 제어할 수 있는 고급 옵션들(예: propagation, isolation, timeout, readOnly) 등을 제공한다. 이는 복잡한 비즈니스 요구사항을 처리하는 데 필수 적이다.
만약 현재 프로젝트가 Spring Boot를 사용하고 있다면, 모든 도메인에서 일관되게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고 유지보수하기 쉬운 방법이다.
정리
| 구분 | jakarta.transaction.Transactional |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
| 제공 주체 | JTA (Java Transaction API) / Jakarta EE 표준 | Spring Framework |
| 목적 | 표준화된 트랜잭션 관리 (JTA 환경) | Spring 환경에 최적화된 트랜잭션 관리 (대부분의 Spring 앱에서 사용) |
| 기능/옵션 | 기본적인 설정만 제공 (ReadOnly, RollbackOn 등 단순 옵션) | 훨씬 더 풍부한 고급 옵션 제공 (Propagation, Isolation, Timeout 등) |
| 사용 환경 | Java EE/Jakarta EE 서버 | Spring Boot, Spring Framework 기반 애플리케이션 |
| 트랜잭션 관리자 | JTA TransactionManager | Spring의 PlatformTransactionManager |
'T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 [TIL] AWS와 k8s (0) | 2025.10.28 |
|---|---|
| [TIL] 무중단배포에 대해 (0) | 2025.10.28 |
| [TIL] Layered Architecture (0) | 2025.10.01 |
| [TIL] Java에서의 병렬 처리 (1) | 2025.09.26 |
| [TIL] 스케줄링 (@Scheduled & Quartz) (0) | 2025.09.24 |